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세대학교 편입 학업계획서, 시간 부족 상황에 대비하자
    학계서 공략 2024. 8. 15. 15:36

     

    연세대학교 편입 학업계획서
    연세대 편입 학업계획서

    빠른 준비가 필요하다

     

    편입 시즌이 정신없게 들이닥치면 평가에 엄청나게 중요한 전형 요소인 학업계획서를 매력적으로 기재하지 못한 채 제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연세대학교는 기재 가능 기간이 필기 합격 발표 후 불과 3일 정도로 한정하는 까닭에 시간이 매우 많이 촉박해요. 게다가 타 대학도 거의 동일한 기간에 학업계획서 제출마감이라 필기 합격을 위해 그토록 노력을 기울이고도 정작 그에 비해 준비가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은 학계서로 원치 않는 결과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매년 편입 요강을 발표하는데, 학업계획서 항목은 사전에 공지하지 않는 통에 지원자들은 갈망하던 1차 합격 소식에 기뻐할 틈도 없이 발등에 불이 떨어지는 격으로 학계서를 작성해야 해요. 평소 준비해 둔 게 없다면 그 막막함을 고작 3일 내외의 시간에 부딪혀 극복해야 하니 실로 난감하죠.

     

    전례 없는 항목이 등장하는 경우는 10년간 편입 학업계획서를 다뤄왔지만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항목이 바뀌는 경우라도 미리 작성해두면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는 건데요.

     

    비전 150
    연세대 비전 150

     

    미리 작성이 어려운 이유 중에 하나가 전공을 미리 선택하는 과감함을 발휘하기가 현실적 이유로 어렵다는 것이겠죠. 그런 경우에는 두 가지 전공으로 압축해 기재해두는 전략이 유용합니다.

     

    편입을 도전하며 연세대학교만 지원하지는 않으니 이러한 준비는 타 대학 학업계획서 작성 시에 효과가 우수해요. 오로지첨삭으로 학업계획서를 미리 준비해두세요^-^   

     

    연세대 국제캠퍼스는 영문 작성이라 마찬가지로 필기 시험을 보고 바로 작성을 시작해야 합니다. 필기 점수가 평균 이상이라는 감만 있다면 대체로 편입 1차 관문은 합격하는 경향을 보여요.

     

    떨어질 줄 알고 있다가 합격 소식에 놀라 부랴부랴 작성하는 분들을 많이 봤어요. 그럴 때마다 의뢰 분들이 많아 바로 도움을 드릴 수 없는 상황이 너무나도 많이 발생해 안타까웠습니다. 올해는 빠짐없이 연세대학교 편입 1차 합격한 분들에게 학계서로 도움을 드리고 싶은데, 유일한 방법은 미리 준비하는 거예요.    

     

    진리와 자유
    진리와 자유

     

    2024년도 학업계획서

     

    1. 해당 모집단위에 지원한 동기와 이를 위한 학업적 노력을 기술하시오. (600자 / UIC applicant: 300 words or less in English)

     

    지원동기에는 학과와 연결한 내용이 필요해요. 연세대에서 제공하는 학과 시설과 그 외 장점을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고 싶다는 취지로 동기를 기재할 수도 있습니다.

     

    거창하게 시작하는 것보다 자신의 노력이 향하는 방향에 맞춰 지원동기를 구성하는 게 적절해요. 일단 학과와 학교에서 전공 학습에 유익한 정보를 찾아봅니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학문적 노력이 연세대학교에서 더욱 빛을 발할 수 있다는 걸 나타내는 구조가 무난해요. 영문은 전공 용어를 확인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해요.

     


    2. 학업 이외 대학시절의 다양한 활동(리더십, 봉사, 동아리, 연구, 취미 등)을 기술하고, 그 경험이 지원하고자 하는 전공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기술하시오. (600자 / UIC applicant: 300 words or less in English)

     

    여러 활동이 지원 전공과 유관하면 그 부분을 강조하고, 무관하면 활용 범주를 고려해 기술합니다. 목적은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겁니다. 편입 후 연세대학교에서 해당 전공을 이수하는 데 미래 효용을 기대할 수 있는 활동을 집중적으로 소개하세요.

     

    예를 들어, 물리학과에 지원하는 상황인데, 학점이수제로 편입을 준비해 활동 내용이 딱히 없을 때는 취미로 관련성을 만들 수 있어요. 학점이수제 지원자는 대체로 대외활동이 적은 편이라 소개 가능한 이야기가 제한적이긴 합니다. 그렇더라도 배움의 자세를 뒷받침할 만한 요소는 자신의 일상에서 충분히 발굴할 수 있으니 너무 염려할 건 아니에요. 

     

    연세대 중앙도서관
    연세대 중앙도서관

     
    3. 본교 편입학 후 학업계획 및 졸업 후의 진로 계획을 기술하시오. (600자 / UIC applicant: 300 words or less in English)

     

    전공 맞춤형으로 기술하는 항목이에요. 졸업 후 진로는 전공 유관의 영역으로 뻗어 나아가는 내용이 적합합니다. 다른 진로를 선택하더라도 지원 전공이 바탕을 이룬 걸 계획으로 수립해야 학업계획과도 어우러져요. 다양성과 전문성이 혼재한 계획이 학부 지원자에게 어울립니다.  

     


    4. 기타 특기사항 (400자 / UIC applicant: 200 words or less in English)

     

    편입 유형마다 기재할 내용이 다른데요. 학부 과정에서 발전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경험을 보여주는 게 가장 매력적입니다. 경험이 전공과 무관하더라도 다채로운 교육 환경에서 배움을 능동적으로 이어갈 소양만 제시할 수 있다면 충분해요. 간단한 항목이지만, 지원자의 특색을 자유롭게 나타내며 인상 만들기 용도로 활용해야 합니다.

     

     

    합격을 위한 학업계획서를 준비해야 할 때는

    오로지첨삭 

     

     

     

Designed by Tistory.